전쟁과역사 에스파냐의 아즈텍 정복 전쟁(1) - 유럽과 아메리카의 격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434회 작성일 16-02-07 08:28

본문















14548013141456.png






14548013154339




촐롤란의 주(主) 피라미드인 테오칼리를 습격하는 에스파냐군




상품 정보



14548013162614.jpg





개요표


에스파냐의 아즈텍 정복 전쟁 개요

전쟁주체


에스파냐 (코르테스/쿠바총독부), 아즈텍 제국, 틀락스칼라

전쟁시기


1519년-1521년

전쟁터


현재의 멕시코 베라크루즈-멕시코 시티

주요전투


촐로란, 라노케 트리스테, 테노치티틀란 공방전






관련링크

에스파냐의 아즈텍 정복 전쟁(2)






통합검색

통합검색 결과 더 보기





멕시코 전부를 호령하였던 아즈텍 제국



1523년, 현재의 멕시코 거의 전부를 호령하였던 아즈텍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Tenochtitlan)이 에스파냐와 틀락스칼라의 동맹군에게 점령당하면서 아즈텍 제국은 멸망하였다. 전쟁사 속에서 많은 전투가 있지만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정도를 뛰어넘어 문명과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을 결정하는 전투는 많지 않다. 그러나 필자의 관점에서 테노치티틀란의 함락은 ‘거시적 차원에서 역사의 흐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전투(Battle with macrohistorical impact)’가 분명하다.

아즈텍인들이 정확히 어디에서 왔는지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그들 역시 빙하기 때 베링해협을 건너 아시아에서 넘어온 몽골리안들의 후손인 것은 분명하다. 이 몽골리안들의 후손들은 북미와 남미 곳곳에서 대부분 부족 공동체를 이루고 수렵과 채집단계의 경제를 영위하였다. 초기 농경단계에 들어간 집단들도 있었지만 이는 보충수단이었을 뿐 아메리카 원주민 대부분은 수렵과 채집으로 대변되는 삶을 살았다.

그러나 수렵과 채집과 부락 공동체가 대부분인 아메리카에 예외는 있었다. 세계 어느 곳이건 간에 ① 대규모 농경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② 공동체의 위치가 주요 교역로에 위치하여 있어 수많은 물자가 오가게 되면 당장 필요한 것보다 식량이나 물건이 많아지게 되고 결국 이러한 물자는 저장되고 축적된다. 그리고 그 ‘잉여물자’에 대한 소유권이 주장되면서 ‘재산’이란 개념이 생긴다. ‘재산’을 많이 가진 자들은 스스로를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보다 특별하다고 여기게 되고 특별한 지위를 누리려고 한다. 이러한 지위를 후손들에게 물려주면서 ‘계급’이 만들어지고 이는 다음 대의 후손들을 통하여 계승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소위 귀족들이 생겨나고 귀족 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자가 ‘군장’이 된다. 그리고 점령과 정복을 통하여 더 많은 땅과 백성과 더 넓은 교역망이 군장의 손에 들어온다. 여기에서 생성되는 물자로 군장을 보좌할 전문적 인력을 고용하게 된다.아울러 더 많은 정복전을 해야하니 단순히 군장의 몸을 보호하는 근위대 이상의 ‘군대’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조직들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조직을 관장하는 ‘관리’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을 통할하기 위하여 군장의 권력이 강해지고 다른 귀족들을 확실히 누르면서 그 지위를 세습하게 되면서 지위가 세습되는 강한 군장, 즉 군주(왕)이 등장한다.

다소 긴 설명 같지만 대부분의 국가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이 된다. 남북아메리카 대부분의 사회는 이러한 과정이 완성되지 못하여 대부분의 집단이 부족공동체에 머물러 있게 되지만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북부에서는 옥수수와 감자의 높은 생산성과 활발한 교역으로 인하여 많은 물자가 오가게 되고 위에 설명한 과정을 거쳐 수많은 도시국가들과 함께 거대한 영역국가들이 생겨났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현재의 멕시코 남부 유카탄 반도의 마야 문명, 남미 북부 페루와 칠레에 걸쳐 있던 잉카 제국, 그리고 전성기에는 현재 멕시코 영토 대부분을 차지했던 아즈텍 제국이었다.



아즈테카 이전의 멕시코 문명



아즈텍 제국은 에스파냐인들이 들어오기 오래 전부터 존재하여온 유구한 나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중부 아메리카(Mesoamerica)에는 서양의 역년(歷年)으로 따지자면 이미 기원전에 해당하는 시기부터 문명국가들이 생겨났으며 이 지역의 역사 전체로 볼 때 아즈텍 제국은 상당히 늦게 생겨난 신생국가였다. 아즈텍인들이 현재의 멕시코 수도인 씨우다드-데-메히코(멕시코 시티)근방에 나타난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아즈텍인들이 이 지역에 오기 전부터 많은 원주민 세력들이 멕시코 지역에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여기에는 지금의 유카탄 지역에서 도시국가를 이루어 융성하였던 마야, 그리고 중부지역에서 많은 도시와 신전을 남긴 테오티우아칸 등이 있다. 마야는 모두 8-9세기경까지 융성하였다가 그 이후 쇠락하기 시작하였는데 “문명의 붕괴”의 저자 제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에 의하면농경에 의한 주변환경의 변화가 마야 문명 쇠퇴의 주원인이라고 적고 있다. 이에 비하여 테오티우아칸 등의 경우는 그 원인이 분명치 않다. 100년경에는 그 유명한 ‘태양의 신전’, 200년강에는 ‘달의 신전’을 지은 테오티우아칸은 흑요석(黑曜石) 무역에 기반하여 약 5세기경까지 번성하다가 약 8세기경에 쇠퇴하였다. 그 쇠퇴한 원인을 두고 이전에는 북부에서 이민족의 침공을 받아 멸망했다는 설이 유력하였으나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로는 반란에 의한 내부 붕괴설이 힘을 얻고 있다. 아울러 테오티우아칸을 건설한 주체 역시 예전의 토르테카설이 힘을 잃고 테오티우아칸 사회는 ‘다민족(Multiethnic)’사회였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토르테카’는 사실 부족명이 아니라 아즈텍 제국의 공용어였던 나우아틀어로 ‘장인’이라는 뜻이다. 즉 사회에서 건축과 예술작업을 담당하였던 사람들을 ‘토르테카’인들이라고 부른 것이지, ‘토르테카’라는 민족이 따로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시 테오티우아칸의 사회적 구성을 들여다보면 그 구성종족에는 자포테크, 오토미, 미츠테크, 나우아등이 있다. 바로 이 나우아인들이 후일 아즈텍 제국을 세우게 된다.





14548013171487




BC 600년경 중부 아메리카 주요 도시



테오티우아칸이 무너지자 나우아인들을 포함한 테오티우아칸의 백성들은 여러 곳으로 흩어졌는데 일부는 인근의 도시국가인 촐롤란(Chololan 또는 Cholula), 초치칼코(Xochicalco), 카카츠틀라(Cacaxtla)에 정착하였다. ‘톨테카’로 불린 장인들을 포함한 집단은 멕시코 시티 동북방 약 90km 지점에 있는 툴라에 정착하여 다시 테오티우아칸의 문화를 재현하였다. 툴라는 이후 크게 번성하여 그 문화적인 영향력이 유카탄 지역과 중앙아메리카까지 미쳤으며 마야는 이때의 문화적 파급효과로 인하여 일종의 르네상스를 맞이한다. 치첸잇사를 비롯하여 많은 마야의 도시에서 툴라 지역 예술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테오티우아칸 이주민들이 툴라로 들어올 때 그들의 영도자가 ‘케찰코아틀’이라는 것이다. 케찰코아틀은 일종의 반신(半神)적인 존재로 알려져 있으며 툴라의 전성기를 이끌다가 북쪽 ‘야만인’들의 침공으로 툴라를 지키기가 어려워지자 동쪽으로 떠나면서 ‘언젠가는 돌아올 것’이라는 예언을 남겼다. 그러나 북쪽에서 들어온 야만인들 역시 구성이 다른 것이 아니라 ‘나우아’계의 집단이었으며 기존의 세력들과 잘 융합하여 현재 멕시코 시티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아나우악(아즈텍어로 “큰 물 사이의 땅”; 에스파냐어 명칭은 El Valle de Mexico)의 대호(大湖)주변에 여러 도시국가를 건설하였다. 아나우악은 현재 멕시코시티였던 큰 호수 지역을 일컫는 이름이다. 13세기에 이르러 아나우악의 도시들은 과거의 테오티우아칸과 마찬가지로 크게 번성하였으며 ‘토르테카’ 장인집단이 대규모로 거주한 쿨우아칸은 예술작품들로 가득한 화려한 도시가 되었다. 아나우악 중간지역에 있는 도시 아즈카포찰코(Azcapotzalco)는 쿨우아칸과는 달리 다양한 집단이 같이 몰려살았는데 군사와 행정관리에 능했다고 전해진다. 이로 인하여 기타 다른 도시들보다 강대한 세력을 자랑하게 되었다.



아즈텍인의 등장과 번성







14548013178255




아즈텍 제국 전성기의 테노치티틀란



아즈텍인들은 아나우악에 들어온 나우아 집단 중 가장 늦게 이주한 집단이다. ‘나우아’세력은 대략 6세기경에 지금의 미국 서남부/멕시코 북서부에서 멕시코 중부로 이주하여 왔다. 아즈텍이란 말은 나우아인들의 언어인 나우아틀어로 ‘아스트란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인데 정확히 아스트란이 어딘지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분명한 것은 아즈텍 제국을 세운 사람들은 멕시코 북부에서 현재의 멕시코 시티 인근으로 이주하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아즈텍이란 이름은 후일에 붙여진 이름이며 아즈텍인들은 스스로를 ‘메치카(Mexica)’라고 불렀다. 현재 멕시코의 국명은 이 메치카에서 기원한다.

아즈텍인들이 아나우악에 들어온 것은 약 13세기인데 이들이 처음 나타났을 때 주변의 도시국가 주민들은 이들을 위험한 이방인들로 여기고 근처에 보이기만 하면 공격하여 쫓아냈다. 이들은 비록 같은 나우아 계통이었지만 아나우악 사람들과 달리 ‘문명인’들이 아니었기에 야만인 취급을 받고 쫓겨 다녔던 것이다. 결국 이들은 큰 호수 안 남들이 쓸모없는 땅으로 여기고 있던 무인도로 들어가 살 수 밖에 없었다. 아즈텍 제국 멸망 이후 일단의 가톨릭 수사들이 모은 구전(口傳) 역사에 의하면 아즈텍인들이 호수 안의 버려진 섬에 테노치티틀란을 세운 것은 서기로 1325년경이다. 테노치티틀란을 세운 이후에도 아즈텍인들은 세력이 약하여 주변국들의 용병노릇을 하면서 전투경험을 축적하고 힘을 키웠다. 그 후 주변도시국가인 텍스코코와 틀라코판과 동맹을 맺고(아즈텍 삼국연합) 주변의 정복에 나선다. 아즈텍은 점점 강성하여져 100여년 후에는 주변의 도시국가들로부터 완전히 독립함은 물론, 되려 주변도시들을 제압하고 무릎 꿇리기 시작하였다. 1450년경 모크테주마 1세 시대에 이르러서는 중부 멕시코 전부를 장악하고 남쪽으로는 현재 과테말라 국경까지 영토를 넓힌다. 1519년에 에스파냐에서 건너온 콩퀴스타도르(Conquistadores, 정복자)들을 만났을 때 아즈텍은 세워진 지 200년이 채 되지 않은 ‘젊은 국가’였고 그 수도인 테노치티틀란은 인구 20만의 대도시였다(당시 잉글랜드의 수도인 런던의 인구는 12만 정도였다.) 테노치티틀란에 입성하는 에스파냐 병사들은 야만인의 소소한 부락이 아니라 당시 유럽의 도시들을 능가하는, 화려하고 거대한 도시의 모습에 압도당하였다. 그 당시 에스파냐인들이 남긴 기록에 에스파냐인들의 경외감을 잘 드러나고 있다.



“병사들 중에는 콘스탄티노플, 이탈리아 각 지역, 그리고 로마를 비롯하여 세상 곳곳을 돌아다닌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은 그 어느 곳에서도(테노치티틀란의 시장같이) 크고, 사람 많고, 잘 관리되고 잘 정돈된 시장을 본 일이 없었다”



호전적인 아즈텍과 위칠로포츠틀리(Huitzilopochtli)



당시 에스파냐인들의 기록도 그렇고 일반적인 인식으로도 아즈텍인들은 호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원래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다. 테노치티틀란에 자리잡고 주변의 도시국가들과 계속하여 싸워야 했고 주변 세력들을 대신하여 싸워주면서 차차 호전적으로 변해간 것이다. 계속되는 전쟁도 물론 영향을 미쳤겠지만 아즈텍인들이 호전적으로 변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서력 기원으로 15세기에 아즈텍을 이끌었던 사제의 종교적 ‘개혁’때문이었다. 앞서 말한 ‘3 도시 동맹’은 단순한 협약이 아닌 전쟁의 결과이다. 서기 1428년부터 1440년 사이에 테노치티틀란을 다스린 이츠코아틀 왕은 이미 동맹을 맺은 도시인 텟츠코코의 왕 네자후알코요틀과 힘을 합하여 틀라코판의 왕 아즈카폿잘코를 굴복시킨 후 세 도시간의 동맹을 맺었다. 이 “3도시 동맹(Triple Alliance)"가 만들어지면서 아즈텍은 아나우악에서 최강이 되었고 이어 다른 도시들을 차례로 무릎 꿇리면서 제국을 건설하였다.

이처럼 아즈텍을 군사적인 강국으로 만든 것이 이츠코아틀이라면 아즈텍의 종교를 만든 것은 이츠코아틀의 조카이자 측근인 대사제 틀라칼라엘이었다. 그는 아즈텍 이전에 아나우악를 지배하였던 톨테카 집단의 지식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뛰어났고 이에 기반한 개혁으로 새로이 강국이 된 아즈텍 사회의 융성을 이끌었다. 그러나 틀라칼라엘은 이전 토르테카 집단이 섬기던 예술과 장인(匠人)들의 신 테즈캇리포카와 케찰코아틀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이에 아즈텍 집단을 태양의 후손들로 강조하는 신화체계를 세우고 그들이 믿어오던 태양의 신인 위칠로포츠틀리(Huitzilopochtli)를 새로운 주신(主神)으로 내세웠다.





14548013190226




에스파냐에 의한 정복후 정리된 구전역사(Codex)에 묘사되어있는 위칠로포츠틀리



톨테카 집단이 평화로운 신인 케찰코아틀을 섬기면서 외웠던 기도문 역시 위칠로포츠틀리를 위한 기도문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틀라칼라엘은 태양신 위칠로포츠틀리의 힘이 미치는 지역을 넓혀야 그 힘이 강해진다는 주장을 하였다. 아울러 위칠로포츠틀리는 태양으로서 “생명의 주관자”였고 그 영적인 기능을 유지하려면 피의 희생을 치뤄야 한다고 하였다. 물론 인신공희(人身供犧)는 아즈텍족이 오기 전에 중부 아메리카 지역에서 이미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틀라칼라엘이 인신공희의 전통을 시작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트라칼라엘은 아즈텍의 정치적 세력의 확장을 태양신 위칠로포츠틀리와 연결시켰다. 결국 아즈텍 제국의 영역확장은 다른 의미에서 더 많은 제물을 확보하는 행위가 된 것이다. 필자의 의견으로는 테즈캇리포카와 케찰코아틀은 선주민(先主民)들이 모시던 신들이었기에 아즈텍의 신을 우위에 놓는 신화체계를 만들어 정치적으로 아즈텍인들을 새로운 사회의 상위계급으로 설정하려는 시도가 아니었나 생각이 된다. 그러나 어찌되었던 이 때문에 이후 아즈텍 제국에서는 하루에 많으면 수백 명에 달하는 포로들이 위칠로포츠틀리의 제단에 바쳐졌고 이는 아즈텍인들이 ‘야만인’들로 인식되는 가장 큰 이유가 되었다.



코르테스의 청년기와 야망







14548013200425




젊은 에르난 코르테스의 초상화



아즈텍 제국을 멸망시키게 되는 에르난 코르테스가 태어났을 때 에스파냐는 격동기였다. 에스파냐를 구성하는 여러 왕국 중 가장 큰 두 나라인 아라곤카스티야가 1479년에 나라를 합쳤고1492년에 이베리아 반도에 남아있던 마지막 무슬림 왕국인 그라나다를 멸망시키면서 현재의 에스파냐가 생겨났다. 코르테스는 1485년에 카스티야의 메데인(Medellin)에서 났고 14살에 살라망카에 있는 대학으로 진학하여 법학과 라틴어를 공부하였다. 그는 여기에서 배운 법지식을 이후 멕시코 정복 후 얻은 영지를 늘리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다고 한다.

소년시절의 코르테스는 새로이 생겨난 에스파냐의 후원으로 아메리카를 탐험하고 돌아온 콜럼버스와 다른 탐험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랐다. 그는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학을 그만두었고 고향에 돌아와 새로이 발견된 대륙으로 건너갈 기회만 노렸다. 그러다 먼 친척인 히스파니올라(현재의 아이티)총독인 니콜라스 오반도 카체레스의 후원을 얻어 1504년에 히스파니올라로 건너간다. 히스파니올라에 도착한 18세의 코르테스는 얼마 지나지 않아 장원(莊園)을 얻음과 함께 조그마한 도시의 관리가 된다. 이어 1506년부터는 당시 총독인 오반도를 따라 히스파니올라의 미개척 지역을 정복하는데 큰 역할을 하면서 전쟁경험과 행정경험을 동시에 쌓게 된다.

이후 코르테스는 1511년에 히스파니올라 총독의 부관인 벨라스케스 데 케야르(Velazquez de Cuellar)를 따라 쿠바 원정에 나섰다. 26세에는 새로이 정복된 쿠바의 식민행정부에서 재무관(財務官)의 서기관이 되었고 그 능력을 높이 산 쿠바 총독 벨라스케즈는 그를 부관으로 삼았다. 그는 이후 쿠바 식민지의 수도인 산티아고의 시장이 되었고, 쿠바 전역에 있는 인디오들을 무시로 징발할 수 있는 ‘엔코미엔다(encomienda)’의 권리가 주어졌다. 이 과정에서의 쿠바 내 그의 위상은 높아졌고 벨라스케즈가 그를 시기하기 시작하면서 둘 사이의 관계는 틀어졌다. 그러나 벨라스케즈의 처제인 카탈리나와 결혼하면서 둘의 관계는 회복되었고 벨라스케스는 1519년에 멕시코 내륙의 식민화를 위한 원정대를 구성하면서 코르테스를 그 대장으로 임명하였다. 사실 코르테스는 총독의 심복이자 산티아고의 시장이었고 쿠바의 행정을 장악하고 있어 상당히 안락한 삶을 누리고 있었지만 그의 야심은 단순히 편안한 삶을 누리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그가 자라면서 그 이야기를들었던 탐험가들을 능가하고 싶은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코르케스는 그의 편안한 삶을 뒤로 하고 1519년에 원정대와 함께 쿠바를 떠나 멕시코로 향하였다.

코르테스의 원정이전에 코르도바(Francisco Hernandez de Cordoba)와 그리할바(Juan de Grijalva) 등에 의한 멕시코 원정이 있었으나 그리할바는 해안가에서 더 나아가지 못했고 코르도바는 주로 유카탄 반도 지역을 탐험했기 때문에 멕시코의 내륙은 에스파냐인들에게 아직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상태였다. 코르테스가 떠나기 직전 벨라스케즈는 코르테스의 인증을 갑자기 취소하고 출항을 불허하였으나 코르테스는 다른 지역에서 선원과 배를 모아 11척의 함선에 500명의 인원을 태우고 벨라즈케즈의 명령을 사실상 거부하면서 멕시코로 떠나 1519년 2월경에 유카탄 반도에 도착하였다.

코르테스는 이곳에 표류하여 살고 있었던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수사(修士)인 아귈라르(Geronimo de Aguilar)를 만나게 된다. 아귈라르는 코르테스와 합류하였고 코르테스는 트리니다드 섬으로 가서 배와 선원들을 추가로 확보한 다음 멕시코 동남부 타바스코 지방에 상륙하여 원주민들과 싸워 이기고 20명의 여인들을 받아 이들을 모두 가톨릭으로 개종시켰다. 이 20명 중에는 이후 라-말린체(또는 도냐 마리아)라고 불린 여자가 있었는데 그녀는 마야어와 함께 아즈텍 제국의 공용어인 나우아틀어에도 능했고 마야어를 할 줄 알았던 아귈라르와 말이 통하였다. 이는 코르테스에게는 대단한 행운이었는데, 라-말린체와 아귈라르를 확보함으로써 비록 중역(重譯)이기는 하였지만 멕시코 내륙의 집단들과 소통이 가능하였고 그들과 협상이 가능하였다. 이 둘이 없었으면 코르테스의 내륙진출과 정복은 사실상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라-말린체는 이후 코르테스의 정부(情婦)가 되었고 이 둘 사이에는 역사기록상의 ‘첫 번째 메스티조(Mestizo)’라고 하는 마르틴 코르테스가 태어난다. 마르틴은 코르테스가 사망한 후 그의 영지를 물려받게 된다.



코르테스의 내륙진격



타바스코를 떠난 코르테스의 원정대는 현재의 멕시코 동부 해안에 있는 베라크루즈에 도착하였다. 그는 주변에 살고 있던 토토나크족을 만나 협상을 하였고 이때 라-말린체와 아귈라르는 제 몫을 다하였다. 군장인 치코메코아틀을 설득하여 아즈텍 황제에게 반기를 들고 대신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인 것이다. 코르테즈는 이때 법적으로 총독의 명령을 거부한 반란군의 신세였지만 그는 이전에 배운 법을 유용하게 쓰게 된다. 그는 상륙한 곳에 베라크루즈란 마을을 세운 다음(La Villa Rica de la Vera Cruz)이 마을의 의회를 통하여 ‘아델란타도’란 지위를 부여받았다. 아델란타도는 어떠한 지역에 공동체가 세워지면 에스파냐 왕실로부터 해당 지역의 군사와 행정, 그리고 사법권을 받아 정복과 통치를 동시에 행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아델란타도들은 총독의 통치권 하에 속하지 않았고 코르테스는 매우 합법적으로 벨리스케즈로부터 자신을 떨어뜨렸다.





14548013213107




아즈텍 황제 모크테주마 2세의 판화초상



이윽고 코르테스는 베라크루즈를 떠나 내륙으로 진입하였지만 그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일단 그가 끌고 온 원정대 중에는 쿠바 총독 벨라스케즈에게 충성을 하는 자들이 남아있었고 만약 이들이 다시 배를 타고 쿠바로 돌아간다면 벨라스케즈가 보낸 군대와 싸우게 될 수도 있었다. 이러한 가능성을 막기 위하여 코르테스는 원정대가 타고 온 배를 모두 부수어버리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결국 그를 따라온 원정대는 좋건 싫건 그와 함께 운명을 같이할 수밖에 없었다. 일종의 배수진을 친 셈이었다.

그는 내륙으로 진군하면서 또 다른 원주민 집단과 마주쳤는데 지금의 멕시코 시티 동부에 살고 있는 틀락스칼라였다. 틀락스칼라는 아즈텍 제국의 전성기에도 자신들의 영역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즈텍과 끊임없는 전쟁을 하고있었고 이 때문에 아즈텍을 원수로 여기고 있었다. 처음에 마주쳤을 때 에스파냐군은 틀락스칼라와 수 차례 충돌하였고 이기기는 하였지만 에스파냐군의 숫자는 너무 적었다. 에스파냐군은 결국 산 위로 몰려 농성을 하는 처지까지 몰렸으나 틀락스칼라의 군장은 에스파냐군의 무기와 투지가 의외로 강력함을 보고 산 위의 에스파냐군에게 제안을 하였다. 자신들과 함께 아즈텍과 싸우자는 것이었다. 코르테스는 내륙의 거대한 나라에 대한 소문을 들었기는 하였지만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게다가 틀락스칼라의 수적인 우위에 눌려 구석에 몰린 코르테스에게 틀락스칼라 군장인 치코텐카틀의 제의는 매우 솔깃한 것이었다. 물론 틀락스칼라는 에스파냐인들의 황금에 대한 탐욕을 알지 못하였고 결과론적으로 볼 때 이는 이리를 쫓으려고 호랑이를 불러들이는 격이었다. 그렇지만 당장은 원수인 아즈텍을 쳐 없앨 생각에 다른 것을 생각할 여유는 없었을 것이다.

틀락스칼라군의 포위가 풀린 후 코르테스는 틀락스칼라에 20일동안 머물렀고, 휴식을 취하면서 틀락스칼라 고위층에게 가톨릭을 전파하였고 많은 소군장 여러 명이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이때 에스파냐인들의 행태는 황금에 대한 물질적인 탐욕과 함께 그들이 야만으로 여기던 원주민들에게 ‘더 높은 신앙’인 가톨릭을 전파하려는 모습이 뒤섞여있었다. 이때 아즈텍의 황제인 모크테주마 2세는 동쪽에 이상한 족속이 상륙하였으며 그들이 아나우악를 향하여 다가오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는 아나우악 남쪽의 대도시인 촐롤란(톨룰라)으로 전갈을 보내 에스파냐군 행렬을 맞도록 하였다. 그러나 사실 모크테주마는 촐롤란으로 하여금 에스파냐군을 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을 가능성이 많다. 코르테스를 동행하고 있던 라-말린체는 촐로란의 긴장된 분위기를 수상하게 여기고 몰래 촐롤란의 귀족부인을 한 명 납치하여 심문하였는데 그 여자는 촐롤란의 전사들은 에스파냐군이 밤에 쉬고 있을 때 야습하여 죽이려 하고 있다고 실토하였다.

코르테스는 아직 아무런 일도 잃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도발을 하는 것은 내키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가지고 도박을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촐룰라측을 먼저 기습하기로 하였다. 아즈텍 황제의 편에 서있는 촐롤란은 틀락스칼라에게도 적이었고 틀락스칼라와 에스파냐군은 그 날 저녁 주저하지 않고 촐롤란을 기습하였다. 에스파냐군이 먼저 기습할 줄 몰랐던 촐롤란은 그대로 당했고 일설에는 3만이 넘는 촐롤란인들이 목숨을 잃었으며 도시는 불 타 없어졌다 한다. 모크테주마는 그의 계획이 실패한 것에 반신반의 하면서도 결과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고 에스파냐-틀락스칼라 동맹군은 이후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그대로 테노치티틀란에 입성하였다.

* 2편에서 계속됩니다.





김성남 | 안보·전쟁사 전문가
글쓴이 김성남은 전쟁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UC 버클리 동양학과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학 석사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학과에 진학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전쟁으로 보는 한국사], [전쟁으로 보는 삼국지], [전쟁 세계사] 등이 있으며 공저로 [4세대 전쟁]이, 역서로 [원시전쟁: 평화로움으로 조작된 인간의 원초적인 역사]가 있다.


발행2012.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